[연재] 태극기 – 대한민국 상징 바로 알기
여러분들은 “대한민국” 하면 무엇이 생각나나요? 태극기? 무궁화? 애국가? 이번 기회를 통해 나라사랑의 기본이 되는 국가상징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상징 바로 알기
자기 나라를 잘 알릴 수 있는 내용을 그림, 문자 도형 등으로 나타낸 공식적인 표시를 “국가상징물”이라고 합니다. 국가상징물은 사람들을 하나로 뭉치게 해주고, 민족의 긍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태극기
가. 태극기의 역사
우리나라에서 국기를 만든 것은 1882년에 조선과 미국이 맺은 조약(조미수호통상조약)이었습니다. 하지만 당시 국기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습니다.
1882년 9월 박영효(朴泳孝)는 고종의 명을 받아 수신사(修信使)로 파견되어 일본으로 가던 중 배 위에서 태극 문양과 그 둘레에 4괘를 그려 넣은 ‘태극·4괘 도안’의 깃발을 만들어 사용하였어요. 고종은 다음 해인 1883년 3월 6일 왕명으로 이 ‘태극·4괘 도안’의 ‘태극기(太極旗)’를 국기(國旗)로 정하고 선포하였습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태극기의 제작법을 통일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정부는 1949년 10월 15일에 오늘날의 태극기 제작방법을 담은 「 국기제작법고시」를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1) 데니태극기(1890년경) / 2)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태극기 / 3) 현재 대한민국 태극기
나. 태극기의 뜻
‘태극기(太極旗)’는 흰색 바탕에 가운데 태극 문양과 네 모서리의 건곤감리(乾坤坎離) 4괘(四卦)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 깃봉의 모양
태극기를 꽂는 깃대의 깃봉은 아랫부분에 꽃받침 다섯편이 있는 둥근 무궁화 봉오리 모양으로 하며, 그 색은 황금색으로 하지요. 올바른 깃봉과 잘못된 깃봉을 비교해 다른 점을 찾아 보세요.
라. 태극기 다는 날
국경일 등에는 국기를 달아 이를 축하하거나 기념일의 의미를 되새기지요. 그 외에도 정부가 따로 정한 날도 있어요. 국기 다는 날에는 잊지 않고 국기를 달아 보아요.
마. 태극기 다는 법
태극기는 어떤 날에 다는가에 따라 태극기를 다는 높이가 다릅니다. 어떻게 다는지 살펴볼까요?
바. 태극기 잘 관리하는 방법
태극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잘 접어서 태극기 보관함에 둡니다. 훼손된 국기나 부러진 깃대 등을 그대로 놓아두어서는 안되겠지요?
때가 묻거나 구겨진 경우에는 국기가 손상되지 않게 세탁하거나 다려서 다시 사용할 수 있어요. 그러나 너무 많이 손상된 경우에는 다른 용도에 사용하지 말고 즉시 소각 등 폐기 하여야 합니다.
소각하기에 불편한 경우 태극기를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에 있는 국기 수거함에 넣어주세요.
사. 국기에 대한 맹세
나는 자랑스러운 태극기 앞에
자유롭고 정의로운 대한민국의 무궁한 영광을 위하여
충성을 다할 것을 굳게 다짐합니다.
(2007년 7월 27일 개정)
아. 국기에 대한 경례
차렷자세에서 시선은 국기를 향하고 오른손을 왼쪽 가슴에 댑니다.
자. 태극기 그리는 방법
태극의 윗부분 색은 하늘에 떠 있는 태양을 생각하면서 빨간색을 기억하시면 됩니다. 4괘의 모양을 잘 살펴보면 막대 모양이 3개, 4개, 5
개, 6개로 모두 다르게 생겼습니다. 영어 ‘n’자 모양으로 순서 대로 나열해 주면 된답니다!
태극기를 그릴 때에는 바탕과 태극, 4괘의 크기와 위치에도 정확한 비율과 뜻이 담겨 있습니다.
출처 : 소년영웅 창간호 (2018.11)
구독 문의 : 도서출판 꼬레아우라 (02-574-7300)